Coder Social home page Coder Social logo

handbook's Introduction

온더 팀 핸드북

Discord

이 핸드북은 회사가 어떻게 운영 되는지에 관한 핵심 저장소입니다. 이 내용은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안과 피드백은 어느 누구든지 주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개선안이 있다면 언제든지 pull request를 해 주시기를 바라며,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issue를 내 주시기 바랍니다.

onther_logo

handbook's People

Contributors

khk77 avatar ggs134 avatar dcanyon avatar 4000d avatar

Stargazers

Yunjeong Park avatar 0xDanielH avatar  avatar Bora Lee avatar Trent avatar Park Sang kil avatar Dongjun Na avatar  avatar  avatar Loun Lee avatar Benjamin Hyo-keun Oh avatar  avatar

Watchers

James Cloos avatar dongsam avatar  avatar  avatar Jeong-Sik Yun avatar  avatar  avatar gonu.eth avatar  avatar  avatar

handbook's Issues

월간회의 초안

월간회의

월간회의는 해당월 한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차월 할 일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연간계획에 맞추어 계획대로 이루어지나 점검하는 시간이다. 지원팀의 재무활동 월간보고를 통해 회사내부사정을 공유하고 향후 방향성에 대해 토의한다. 또한 팀원들의 해당 월 정성평가가 이루어진다.

  1. 월간회의는 기본적으로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주간회의 다음에 이루어진다.
    • 시간: 오후 6시~
  2. 필요 시 담당자는 회의실을 빌려놓는다. 희의실 장소 통보는 슬랙채널 #notice 에 {[가칭]슬랙사용법 notice}에 따라 작성한다.
  3.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은 "화상통화"로 참여한다.
  4. 월간회의에 참여하기 전 각 팀 팀장은 주간회의 스프레드시트를 작성한다.
    • 양식의 위치는 구글드라이브 Onther- 6.관리 - 6-4 회의록 - 6-4-3. 주간회의
    • 양식의 제목은 "해당월 DM-WM-MM" 이다.
  5. 월간회의에서는 해당월의 어젠다와 차월의 어젠다에 대해 이야기 한다.
    5-1 그해 마지막 12월의 월간회의에서는 연간회의를 겸한다.
  6. 지원팀은 재무보고를 한다. 온더의 내부사정을 모두 공유하고 투명하게 경영을 이끌어가기 위함이다.
    6-1 해당월의 지출현황, 매출액현황, 향후 6~1년 재무현황에 대해 이야기 한다.
    6-2 마지막 12월의 경우 연간 재무현황에 대해 이야기 한다.
  7. 월간회의에서는 모든 팀원의 "성과평가"가 이루어진다.

카테고리 '세미나' 추가 제안

프레젠테이션 혹은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로 “세미나”추가 하면 좋을 것같아요.
1 세미나 주제 정하기
2 캘린더에 일정 추가
3 #notice 공지
3.1 날짜(요일), 세미나 내용, 장소, 시간, @이름, 발표자료 링크
3.2 (예시) 4/6(금), EVM구조, 6층Onyx, 오후6시~7시, @tom, 발표자료링크

4 세미나/녹화 준비
4.1 빠른 피드백을 위해 세미나자료(프레젠테이션/문서 등 관련 링크) 생성시에는 링크를 바로 공유한다.
세미나 전 준비
4.2 화상 채팅 링크는 세미나 최소 5분전에 링크를 공유한다.
4.3 서로의 시간을 save하기 위해, 세미나 전 영상 테스트, 세미나 주제, 논의 아젠다 등은 미리 준비 한다.

세미나, 데모, 블로깅 선택 기준

1.아이디어가 필요하거나, 아이디어를 develop하고 날카롭게 하기 위해서는 --> 빠른 정리를 통해 의견을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세미나를 추천
2. 만들어진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뭔가 간단하게나마 만들어서 공유하고 피드백이 필요한 경우 --> 데모를 추천
3. 그렇게 만들어진, 혹은 날카로워진 새로운 생각개선안 대중에게 공유하고 알리고 싶다 --> 블로깅를 추천

Engineering 공통과정 제안입니다.

공통과정

이더리움 황서가 없는게 좀 의문이에요. 베이지 페이퍼 한번 봤는데, 구술로 잘 설명되어있긴 하지만, 수학적인 notation 이 부족하고, 황서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진 않더라구요. 가령 state transition 이 단계적으로 일어나는데, 그 부분이 상당히 간략히 설명되어있구요. 하지만 trie 같은건 설명 잘 해둔거같아서 보기 좋더라구요.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황서를 봐야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mathematical notation
  • 노테이션을 알고 나면 추가적인 알고리즘 / 개념 이해는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가능
  1. gitter 를 통한 질의응답 가능
  2. beige paper 보다 업데이트가 빠름
  • zk-SNARK verification 이 비잔티움 포크 후 precompile contract 으로 추가될 것 같음
  1. beige paper 보다 public review 가 더 잘됨
  • contributor 1명 뿐
    입니다.

researcher 라면 황서정도는 필수적으로 넣어야될 것 같고 engineer 라면 반반 정도로 넣어야 될 것 같아요.

근무시간, 휴가, 반차 등

일하는데 정해진 시간은 없다.
팀의 방향성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일을 정의하고 끝마치면 된다.

기준시간은 한국시간으로
최소한 12시간 이내에는 답변을 해줘야한다.
일하는데 정해진 시간이 없기때문에
사실 휴가와 리모트워크의 차이는 별로없다.
다만, 휴가를 내는 이유는 그날은 12시간이내에 답변을 하기 힘들다는
팀원들에게 공개적으로 알리는 수단일 뿐이다.

휴가와 반차의 차이도 거의 없지만, 한국시간을 기준으로 오전 혹은 오후에
답변 혹은 회의에 참석하기 힘들다는
팀원들에게 공개적으로 알리는 수단일 뿐이다.

업무와 커뮤니케이션에 지장이 없는 내에서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사실상 휴가의 횟수에 대해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Engineering guide 의견

엔지니어링 문서 에 관한 의견입니다.

온더 레포지토리

각 레포지토리 당 maintainer 할당 필요. maintainer 는 쉽게 말하면 해당 저장소의 주 개발자. 소스 코드의 구조, 사용된 Framework, 개발 환경 등 저장소에 포함된 모든 내용물들을 숙지해야하는 의무가 있음. maintainer 가 필요한 이유는 개발 뿐만 아니라 소스코드 이해도가 높으면서 issue / pull request 를 담당할 역할이 필요하기 때문

따라서 해당 maintainer 외 개발자들은 pull request 를 통해서만 기여해야함. maintainer 는 pull request 를 통하지 않고 직접 commit 하도록 허용. 이는 code review 를 제안하는 방식과 담당할 사람을 명확히 구분해줌.

코드리뷰

github pull requests 를 통해 기능 추가 제안 / 코드 리뷰 작성을 추천함.

maintainer 가 아니라면 항상 pull request 를 통해서 개발에 기여해야함. 이는 변경 사항을 maintainer 가 항상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review 할 대상 커밋들을 github pull requests 에서 간략히 볼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또한 같은 UI 에서 이뤄질 수 있음.

구글캘린더

구글캘린더

구글 캘린더는 팀원 모두가 공유해야 하는 일정을 작성하고 확인하는 곳이다. 온더의 팀원이라면 누구나 캘린더 접근이 가능하며 작성 또한 가능하다. 다른 사람이 잡은 일정은 삭제하지 않는다.

  1. 날짜가 있는 네모칸 안 어디든 클릭하면 새로운 일정을 추가할 수 있다.
  2. 제목을 입력하고 날짜와 시간을 입력한다.
  3. 팀원 모두가 공유해야 하는 일정(세미나, 회의 등)은 “온더”로 일정을 잡는다.
  4. 반복적인 일정 입력 or 설명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옵션 더보기” 클릭, 반복 안함 드롭다운 목록에서 다른 항목을 선택한다. 설명 추가부분에 설명을 추가한다. 온더 아이디에 색깔 또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의 허락이 있지 않는다면 수정하지 않는다.
  5. 기존일정을 수정하고 싶은 경우 기존 일정위에서 클릭, 연필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정한다.
  6. 기존일정을 삭제하고 싶은 경우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
  7. 온더의 일정을 내 일정으로 복사하고 싶은 경우 휴지통아이콘 옆 햄버거 메뉴를 클릭하여 “다음으로 복사: ㅇㅇㅇ” 클릭

“회의시간 단축“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의견을 제시합니다.

[캘린더에 작성할 내용]

  1. 회의 주최자 (ex)캘린더에 회의 제목_주최자이름,필참대상이름,..
  2. 회의의 목적/어젠다
  3. 회의 방식
    (1)정보전달, 내용 고지 및 Q&A
    (2)합의를 통해 어떤 결정을 내리기 위한 회의
    (3)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회의
  4. 회의 시작 시간과 끝시간

• 회의 주최자와 참석자의 attitude

  1. 회의 주최자는 반드시 회의의 목적과 방식 에 대해 정확히 공지 하고,
    회의 참석자는 어젠다를 이해하고 미리 회의 준비하기
    : [필수] 캘린더 내용 작성
    : [선택] 일간회의 때 공지, notice에 공지
    2.회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 준수하기
    3.주최자는 예정된 사간 전에 결론을 유도할 수 있어야함. 1) 다음에 다시 회의 열기 2) 결론을 만듬
    4.회의 주최자는 회의록 작성: 1)결론 2)실행방법
    : 회의록은 #회의채널에 남긴다.

관련해서 피드백 주세요!!


일정주제 슬랙 대화를 하거나
온/오프라인 회의를 할 경우
반드시 누군가는 회의록을 작성해서 남긴다.

[일반] 업무가능일

업무가능일

  • 월~금 KST 10:00 ~ 19:00 공휴일 제외
  • 이 외에 시간에는 가급적 연락을 피해주시기 바랍니다.

[인사] 입퇴사

입퇴사

  • 입사
    새롭게 채용된 팀원은 온더의 계정이 부여된다. 계정을 이용해 출근 날짜 전까지 온더의 핸드북을 숙지해야 한다. 가장 먼저 숙지할 사항은 “OJT 프로그램”이다. 소속팀 OJT 프로그램을 듣고 과제를 수행한다. 그 다음 “일반사항”을 숙지한다. 커뮤니케이션과 도구 항목을 꼼꼼히 읽고 온더의 업무방식에 빨리 적응하기 위함이다. 입사 후 담당직원과 입사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온더는 새로운 입사자를 위해 이른 시일 내 환영회를 열 것이다.

  • 퇴사
    퇴사는 최소 1개월 전에 구두 혹은 메신저를 통해 이야기해야 한다. 퇴사협의가 이루어지면 관련 인수인계사항에 대해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사직서와 함께 제출한다. 퇴사하는 날, NDA(기밀유지협약서)를 작성하고 담당직원과 퇴사절차를 진행한다.

[마케팅] 블로그 글 작성법

  1. 제목은 한글(영어)로 작성
  2. 용어는 한글(영어)로 작성
    2-1. 도저히 바꿀 수 없는건, 영어 원문으로 그냥 적는다. 코드, 자료구조, 딱히 번역어가 없다던지..
  3. 중요한 용어는 진한색으로 처리
  4. 사진은 전체 분량의 1/3 ~ 1/2이 적당
  5. 하이퍼링크를 적극적으로 활용
  6. 글의 시작은 매력적인 사진으로 시작
  7. 글 시작할 때 "안녕하세요 @필명 입니다." 꼭 넣기.
  8. 분량은 5~10분 안에 읽을 수 있는 분량이 적당하다. 길어지면, 연재를 하는게 낫다.
  9. 맞춤법은 절대 틀리면 안된다.[띄어쓰기, 오타 등]

[인사] 채용절차

[인사]

채용절차

서류평가, 전화 인터뷰, 오프라인 인터뷰, 처우협의 4단계를 거친다. 경력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3개월의 인턴 기간을 거친다. 지원자는 온더의 핸드북을 읽고 본인의 가치관과 부합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1. 서류: 양식은 자유이며 언제든 [email protected] 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보낸다.
  2. 전화인터뷰: 서류통과한 지원자에 한해 전화인터뷰를 실시한다. 전화인터뷰는 30분~ 1시간 혹은 그 이상 걸릴 수 있다.
  3. 오프라인 인터뷰: 지원자가 속할 팀원, 팀장, 최고운영책임자, 대표이사와 인터뷰를 한다. 온더의 목적과 가치에 지원자가 부합하는지, 해당직무 역량, 인성 등을 평가하며 온더는 인터뷰 결과표를 지원자에게 제공한다.
  4. 1주일 이내에 팀원과의 회의를 통해 입사여부를 결정하고 처우를 협의한다. 지원자와 입사날짜를 조율한다.

[일반] 자신이 하고 있는 일 < 요청 받은 일

image

예를 들면, 이렇게 요청이 들어왔을 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잠깐 멈추고 요청 받은 일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요청받은 일을 현재 할 수 없는 경우는 이모티콘(어떤 이모티콘을 사용할지 정해야할 듯)을 남겨줍니다. 만약 확인을 하고 요청받은 일을 처리한 경우에도 이모티콘을 남겨주면 좋겠습니다.

정리하면

  • 태그가 걸려서 어떤 일을 요청을 받은 경우, 자신이 하던 일을 멈추고 요청받은 일은 우선적으로 한다.
  • 요청받은 일을 할 수 있거나, 당장 지금 할 수 없는 경우 모두 이모티콘으로 의견을 남긴다. (요청받은 일을 확인하면 무조건 이모티콘을 남기면 좋겠습니다.)

일반사항에서 가치의 우선순위 관련

가치의 순서와 관련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데, 자주 자주 다시 읽어보고 수정/추가/삭제 해야할 듯.
*** 아래 가치는 내가 생각하는 순서대로 나열한 것임

  1. 투명성??? --> 공유 or 시작으로 변경 아니면, 소제목으로 추가
  • "온더인"의 마인드Set,
  • 동료/조직에 대한 Compassion의 마음으로 공유한다.
  • 이슈를 공개하고 공유하고 소통한다.
  • 동료/조직의 성장을 위한 대안있는 비판과 피드백-> 수용-> 노력/해결 -> 성장
  1. 결과물
  • 기록: (1)소통을 위해 최대한 친절하게 기록을 남긴다. (2)목표를 관리한다. (3)내 정리를 위해 기록한다.
  1. 성장 : 협동의8.스스로 하기는 성장에 속해야 하지 않나?
  • 시작: 필요를 인식하면, 불만보다는 내가 먼저 시작하면 된다. 고민보다는 일단 그냥 시작한다. 이를 도와줄 동료가 옆에 있다.
  • 배가(doubling): 동료/조직의 성장이 나의 성장이다.
  1. 효율성
  • 일에 대한 우선순위를 두고, 시간과 노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분배한다.
  • 우선순위가 낮은 일은 소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1. 협동(인성)
  • 서로에 대한 관심 & 감사 & 사랑
  • 피드백: 눈감아 주는게 사랑은 아니다. 적절한 피드백이 없는 것은 서로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다.

[인사] 상호평가? 성과평가? 항목제안

인사에서 성과평가라는 항목도 필요할거 같습니다.

성과평가

온더의 성과평가는 상호평가이다. 탑다운 방식의 성과평가가 아닌, 모든 팀원의 성과와 결과물을 서로 평가한다. 대표이사와 임원도 예외가 아니다. 이는 성과에 대해 조금 더 투명하고 공정하게 평가하기 위함이다. 평가는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로 나뉘며 감사횟수를 측정한다. 정성평가는 팀원이 자신의 성과를 직접 정리하고 발표한다. 팀원은 발표내용에 대해 피드백을 준다. 이는 팀원 스스로 한 달을 돌아보며 스스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불어 팀원의 피드백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스스로의 장점과 개선점을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레드마인 일감도 성과평가의 근거로 활용된다. 일감의 수가 아니라 질을 평가하며 레드마인에 기록되지 않은 일감은 평가에서 제외된다.

  • 정성평가
  1. 매월 마지막 주간회의 때, 모든 팀원이 돌아가며 한 달 동안의 자신의 성과(결과)를 발표한다. 양식은 자유이며 슬랙에 공유한다.
  2. 성과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주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 해당 월의 한 일, 잘한점, 개선해야할 점 등을 넣는다.
    - 연간계획 or 연간 진행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발표가 끝나면 모든 팀원은 발표 팀원에 대해 긍정적인 부분과 발전될 수 있는 부분을 얘기한다. 솔직하게 진심으로 이야기 한다. 팀원은 다른 팀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본인의 성장을 위해 개선해야할 부분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4. 매월 자신이 받은 감사 횟수를 기록한다.
  • 정량평가
  1. 정성평가를 마치면 담당자는 정량평가 양식을 슬랙채널 #general 에 배포한다.
  2. 정량평가의 결과는 공과를 나누기 위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3. 정량평가는 입사일에 따라 투표점수가 다르다. 30일 기준으로 100점을 부여받는다.
  4. 할당된 점수를 팀원에게 투표한다. 여기서 팀원이란 본인, 대표이사 등을 포함한 모든 팀원을 이야기 한다. 팀원에게 투표한 총합은 할당된 점수와 일치하여야 한다.
    • ex: 할당점수:100점 A: 25점 B: 23점 C: 26점 D: 26점
  5. 팀원은 24간 이내에 정량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 감사
  1. 매월 감사를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을 선정한다.
  2. 연말 성과평가에 반영한다.

[인사, 커뮤니케이션] 슬렉 그룹과 팀

  • 연구소팀: @lab

    • default channel : dev
  • 기획지원팀 : @business

    • default channel : operation
  • 향후 각 팀원이 8명 이상으로 커질 경우, 서브팀을 만든다.

  • 서브팀은 @상위팀_하위팀명으로 그룹을 만든다.

    • 서브팀의 default 채널은 '상위팀채널명_하위팀명'

메일 참조 관련

외부로 나가는 메일은 해당 프로젝트 PM or TeamManager 와
kevin(개발) or zoe(운영)는 꼭 필히 공동 참조해주세요!!

[인사] 휴가

휴가

  • 휴가는 허가가 아닌 통보
  • 1개월 만근 시 1일 휴가 (인턴 기간 포함)
  • 0.5일 씩도 사용가능 (오전반차: 10:00 ~15:00 , 오후반차: 15:00 ~19:00)
  • 팀원 휴가 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업무와 관련되어 연락하지 않는다.
  • 사용방법
  1. 연가를 원하는 사람은 언제든 지원팀에 얘기한다. (슬랙 DM, 이메일 등)
  2. 지원팀은 팀장 및 대표에게 바로 전달
  3. 지원팀은 슬랙채널 #notice 에 휴가신청이 완료됐음을 공지한다.
  • 다만 주요한 일정으로 인해 휴가일정 조정이 권유될 수 있다.
  • 휴가 요청 후 본인은 곧바로 온더 캘린더에 시간없는 일정으로 반영(노란색 라벨)
  • 예비군 등도 동일 (연가는 사라지지 않음, 증명서 필요)

[캘린더 일정/세마나 공지]

[구글캘린더 일정 방법]
미팅, 세미나 등을 공지할 때 구글캘린더를 사용합니다. 꼭 제목, 시간, 위치, 발표자료 링크를 캘린더에 표시해 줍니다.

  1. 제목 추가: 제목_담당자명
  2. 시간 설정
  3. 위치 추가: 4층 peridot, /appear주소
  4. 설명 추가: 발표 자료 링크
  5. 슬랙채널 #general에 매일 오전9시, 
해당 일정 30분 전에 자동으로 공지됩니다.

[도구] HYFY PRO

HYFY PRO

  • 목적: 모든 화상 챗 녹화
  • 구매: https://www.hyfy.io/ $5 per month, per user
  • 특징: 3인 이상일 경우 saving up to 20%, 1회 60min까지 recording됨
  • 설치법: https://www.hyfy.io/ 에서 설치 클릭, 크롬 확장프로그램 추가
  • HYFY 로그인 필요
  1. 추가된 크롬 확장프로그램(오른쪽 상단) HYFY 클릭
  2. SIGN IN WITH GOOGLE 클릭
  3. 크롬에 회사계정 로그인 상태 시 로그인 가능 (HYFY에 빨간색이 칠해지면 로그인 상태)
  • 설정
  1. 크롬 확장프로그램(오른쪽 상단) HYFY 클릭
  2. 톱니바퀴 설정 클릭
    2-1. Mac Chrome: include audio 마이크 설정 sound flower (없다면 설치필요)
    2-2. Window chrome: include audio 마이크 설정 커뮤니케이션 마이크
  • 녹화 방법
  1. 크롬 확장프로그램에 HYFY 아이콘 클릭

  2. START RECORDING 클릭

  3. 화면공유하기 선택: 내 전체화면 선택/ 어플리케이션 창/ 크롬탭 선택

    • 내 전체화면: 듀얼모니터의 경우 화면1, 화면2로 구분되며 전체화면을 녹화한다.
    • 애플리케이션 창: 애플리케이션 각각을 녹화한다.
    • Chrome 탭: Chrome의 각 탭만을 녹화한다.
    • 일일회의 팀콜: 애플리케이션 창 or Chrome 탭을 이용하여 녹화한다.
    • 녹화가 진행되면 왼쪽 아래에는 본인의 캠이 뜬다. 항상 같이 녹화됨
  4. 유료 사용자의 경우 60분까지 recording됨. 60분씩 끊어서 녹화할 것

  5. 무료 사용자의 경우 10분까지 무료, 10분 이후의 녹화분은 7일이내에만 가능하고 삭제됨

  6. 녹화를 마치고 공유하기
    6-1. 왼쪽 하단 캠화면에서 빨간 동그라미 클릭
    6-2. Preview & SHARE 클릭
    6-3. 맨 위 제목 수정: "세미나주제 on 18-04-06" or "Team call on 18-04-06" 등
    6-4. 저장화면 선택: Screen only 선택
    6-5. PRIVACY 에서 Public 클릭으로 PRIVATE으로 SAVE
    6-6. SHARE VIDEO에서 주소 복사
    6-7. 해당 슬랙채널에 공유

  7. 녹화링크 해당 리스트에 양식에 맞게 작성

녹화 초안

녹화는 팀콜, 세미나, 일일회의, 주간회의, 월간회의 때 의무적으로 녹화한다. 주최자가 녹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참여자 중 한 명이 녹화한다. 녹화의 목적은 두 가지다. 위 상황에 참여하지 못한 구성원이 차후에 정보를 습득하기 위함이고, 기록을 남겨 결과물 성과물로 남겨놓기 위함이다.
녹화의 프로세스는 1.Appear에 접속하여 화상채팅을 시작하고 2.HYFY를 사용하여 녹화를 진행하는 순서이다. 또한 녹화 후 해당링크를 리스트에 작성하여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한다.

[도구] Appear.in PRO

###Appear.in PRO

  • 목적: 4인 이상이 대화에 참여할 경우 방 생성 & HYFY로 녹화기능 반드시 사용

  • 구매: https://appear.in/information/pricing/ $9.99 per month

  • 특징: 12명까지 참여, 방갯수 10개까지 만들 수 있음, recording 안됨!!

  • 얼굴이 잘 나오도록 카메라를 맞춘다.

  • 처음 시작 방법

  1. 생성된 방이름 클릭
  2. login with different~ 클릭
  3. slack 로그인
  4. Authorize 버튼 클릭
  5. 슬랙과 연동이 되었다면 사용법1 or 사용법2를 따른다.
  • 사용법1_새로운 방 생성
  1. 해당 업무에 맞는 채널에서 명령어 사용, "/appear 방이름" ex: "/appear onther"

  2. 권장: 한 방에는 4명이 참여하는게 App 성능이 가장 좋음

  3. 4인 이상/이하 설정: Settings에서 Group mode 설정 가능,

  4. 원활한 녹화를 위해 마이크 설정을 바꿔준다.
    4-1. Mac Chrome: include audio 마이크 설정 sound flower (없다면 설치필요)
    4-2. Window chrome: include audio 마이크 설정 커뮤니케이션 마이크

  5. Lock이 풀려있는 경우, 누구나 방의 대화에 참여 할 수 있다. Locked를 클릭하여 방을 잠궈줘야 한다.

  6. 프라이빗으로 전환: 해당 방에서 Lock을 클릭한다.

  7. Claim할 경우, 본인이 방의 소유자가 된다.

  8. 만약 화면을 공유해야 한다면

    8-1. share screen 버튼을 클릭 (확장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지 않았다면 설치)
    8-2. 화면공유하기 선택: 내 전체화면 선택/ 어플리케이션 창/ Chrome 탭

    • 무료사용자의 경우 20분으로 제한됨. 유료는 제한없음(info계정 로그인필요)
    • 내 전체화면: 듀얼모니터의 경우 화면1, 화면2로 구분되며 전체화면을 녹화한다.
    • 애플리케이션 창: 애플리케이션을 녹화한다.
    • Chrome 탭: Chrome의 각 탭만을 녹화한다.
  • 사용법2_기존 방 참여
  1. 방 입장: 해당 슬랙채널에서 방이름 클릭
  2. Lock이 풀려있는 경우, 누구나 방의 대화에 참여 할 수 있다. Locked를 클릭하여 방을 잠궈줘야 한다.
  3. 프라이빗으로 전환: 해당 방에서 Lock을 클릭하고 Log in(관리자에게 문의)한다.
  4. Claim할 경우, 본인이 방의 소유자가 된다.
  5. 소유자가 아닌 경우 방에 입장하려면 knock를 해야하고, 방의 소유자가 승인해줘야 입장 가능하다.
  6. 소유자가 아닌 경우 knock를 한다.
  7. 만약 화면을 공유해야 한다면
    7-1. share screen 버튼을 클릭 (확장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지 않았다면 설치)
    7-2. 화면공유하기 선택: 내 전체화면 선택/ 어플리케이션 창/ Chrome 탭
    • 무료사용자의 경우 20분으로 제한됨. 유료는 제한없음(info계정 로그인필요)
    • 내 전체화면: 듀얼모니터의 경우 화면1, 화면2로 구분되며 전체화면을 녹화한다.
    • 애플리케이션 창: 애플리케이션을 녹화한다.
    • Chrome 탭: Chrome의 각 탭만을 녹화한다.

슬랙 QnA 채널 관리 suggestion

슬랙에 QnA 채널을 만들고 관리할 필요가 있음 (슬랙이 가장 접근성이 좋음)

제안 이유:

  1. 신입 개발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내부 개발자들에게 모르는 것을 물어볼 일이 많아질 것 같다.
  2. 질문 리스트가 쌓이면 지적 재산이 된다. 서로서로에게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3. 중복된 질문을 줄일 수 있다.
  4. 모르는 부분을 나오면 QnA 채널에 그냥 올리고 비동기적으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자신이 그 답을 찾아내게 되면 댓글로 남겨둔다.

Suggestion:
연구, 개발을 나눠서 QnA 채널을 관리

  • QnA-research: 연구할 때 모르는 내용을 물어보는 채널. 을 읽고 글에 대한 내용을 물어본다.
  • QnA-develop: 개발할 때 코드에 대해 물어보는 채널. 코드를 읽고 해당 코드에 대한 내용을 물어본다.
  • QnA-tokyo: 내부 개발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물어보는 채널

ex:
연구: yellow paper, plasma white paper, 다른 논문들
개발: web3, truffle, geth, pythereum, 여러 코드들

질문 예:
yellow paper를 읽다가 모르는 부분이 나온 경우: QnA-research 채널에서 질문을 한다. 질문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

  1. prefix 번호를 적는다. (prefix 번호를 통해 쉽게 참조가 가능하다. prefix 번호는 결국 질문의 개수와 같아진다.)
  2. 질문을 하게 된 출처를 밝힌다. (ex: yellow paper)
  3. 질문을 적는다.
#1
yellowpaper[링크 포함]

5.4 이 부분이 무슨 의미인가여?

질문 포맷은 정해지지 않았음.

답변은 스레드(댓글)로만 가능하다. 채널에 모든 글은 질문으로만 차 있고, 해당 답변은 스레드로만 존재해야 관리하기가 쉬워진다.

화상통화

화상통화

화상통화는 유연근무제에 따른 부족한 대면 만남을 대신하는 것이다. 온더는 유연근무제를 실시하되 구성원들 모두가 친밀한 관계가 되길 희망한다. 친밀한 관계는 서로의 성장을 돕고 협력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갈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미나, 팀콜, 회의, 커피타임 등 팀원이 오프라인에서 참여하지 못할 경우 화상통화를 이용한다. 가급적 인터넷 환경이 좋은 곳에서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용해 통화하길 권장한다. 기기의 사용은 자유롭게 모바일과 노트북 어느것으로도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은 스카이프와 Appear를 사용한다.

[일반사항] 다국적 업무 환경 고려

현재 메뉴얼의 내용은 시차가 다른 다국적 업무환경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짐.

이를 고려하여

  • 사용언어
  • 근무시간
  • 비동기적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툴

등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음.

Recommend Projects

  • React photo React

    A declarative, efficient, and flexible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 Vue.js photo Vue.js

    🖖 Vue.js is a progressive, incrementally-adoptable JavaScript framework for building UI on the web.

  • Typescript photo Typescript

    TypeScript is a superset of JavaScript that compiles to clean JavaScript output.

  • TensorFlow photo TensorFlow

    An Open Source Machine Learning Framework for Everyone

  • Django photo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 D3 photo D3

    Bring data to life with SVG, Canvas and HTML. 📊📈🎉

Recommend Topics

  • javascript

    JavaScript (JS) is a lightweight interpreted programming language with first-class functions.

  • web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web. New door for the world.

  • server

    A server is a program made to process requests and deliver data to clients.

  •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 way of modeling and interpreting data that allows a piece of software to respond intelligently.

  • Game

    Some thing interesting about game, make everyone happy.

Recommend Org

  • Facebook photo Facebook

    We are working to build community through open source technology. NB: members must have two-factor auth.

  • Microsoft photo Microsoft

    Open source projects and samples from Microsoft.

  • Google photo Google

    Google ❤️ Open Source for everyone.

  • D3 photo D3

    Data-Driven Documents codes.